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름다운 우리말] 머리를 가슴으로, 가슴을 온몸으로

세상에 알아야 할 게 참 많습니다. 예전에 비해 지식의 폭이 훨씬 넓어지고 있습니다. 알아야 하는 과목도 늘었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지식도 끊임없이 솟아 나옵니다.     그럼 우리는 정말로 똑똑해졌을까요? 지식인은 많은데, 지혜로운 이는 적다는 한탄이 여기저기에서 나옵니다. 답답한 일입니다. 지식은 쌓여가는데 지혜는 오히려 옅어집니다.     지식인(知識人)이 넘쳐나는 세상입니다. 지식인이라는 말은 칭찬 같기도 하고, 나무라는 말 같기도 합니다. 지식인을 나무랄 때는 지식을 쌓아는 가지만, 지혜로 바뀌지 않기 때문일 겁니다.     세상에 지식(知識)이 넘쳐나니 지식인도 넘쳐날 수밖에 없을 겁니다. 지혜를 나타내는 한자 지(知)에는 날 일(日)이 더해 있습니다. 지식이 밝아져야 지혜가 될 수 있습니다. 세상에 빛이어야 하는 것입니다.     지식을 경쟁하고, 서로 잘났다고, 많이 안다고 하며 자신의 성적을 내세우는 세상, 자신을 숫자로 표현하는 세상은 어두운 세상입니다. 당연히 지혜가 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인공지능 앞에서는 무력한 사람들입니다. 인공지능의 속도와 정확성을 따라갈 수가 없습니다. 아예 경쟁조차 되지 않습니다.     지식을 아는 것에 그치면 경영의 목표가 돈이 되고, 법의 목표가 돈이 되고, 의술의 목표가 돈이 됩니다. 모든 걸 돈에 초점을 맞추는 세상이 안타깝습니다. 이러한 세상은 지식이 머리에 머물러 있는 세상입니다. 세상일을 머리 아파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슴도 아파야 옳은 해결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지식을 단순히 암기하는 세상에서, 지식이 감정으로 옮겨가는 세상에서 살아야 합니다. 이것을 정보라고 합니다.     정보(情報)는 사정(事情)을 알린다는 뜻이고, 정보나 사정이나 모두 감정(感情)과 관련이 있습니다. 정(情)이 담긴 글자입니다. 이러한 세상이 바로 가슴으로 사는 세상입니다. 남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받아들이는 세상입니다. 무미건조한 정보가 아니라, 가슴으로 아파하는 정보입니다. 공감의 세상, 동감의 세상이란 머리에서 가슴으로 옮겨갔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여기에서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가슴에서 다리로, 아니 온몸으로 퍼져나가서 핏줄이 돌 듯이 모세혈관까지 전해져야 합니다. 머리로 생각한 것을 가슴으로 옮기고, 가슴으로 느낀 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겁니다.     사실 이 지점이 가장 어렵습니다. 책상 앞에서 생각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멀리서 떨어져서 가슴 아파하는 것은 할 수 있지만 실제로 뛰어들어 행동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우리는 생각을 키우기 위해서 책을 읽고, 글을 씁니다. 독서와 글쓰기가 내게 큰 도움을 준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겁니다.     하지만 내가 읽은 대로, 내가 쓴 대로 행동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글 읽기에서 이런 읽기를 체독(體讀)이라고 합니다. 온몸으로 생각하며. 행동하며 읽는 것입니다.     주로 경전을 이렇게 읽습니다. 종교의 경전은 그저 읽기만 하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실천이 중요한 겁니다. 마찬가지로 쓰기에서도 체서(體書)가 필요합니다. 이 말은 제가 만든 말입니다.   글을 쓰면서, 책을 읽으면서 지식인인 척하는 스스로가 부끄럽습니다. 그야말로 저는 지혜는커녕 지식인도 못 되었습니다. 배운 것을 실천으로 옮기는 삶도 노력해야겠습니다. 세상을 위해서 행동하는 삶이 되기 위해 체독의 삶, 체서의 삶, 체학(體學)의 삶을 생각해 보는 오늘입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가슴 모두 감정 해결 방향 칭찬 같기

2025-04-06

[아름다운 우리말] 감정의 위로

우리말은 감정에 대한 어휘가 발달한 언어입니다. 형용사가 발달하였다는 것도, 감각을 나타내는 말이 발달하였다는 것도 모두 감정과 연계됩니다. 의성 의태어나 색과 관련된 표현이 많은 것은 우리의 감정이 움직이고 보는 것의 다채로움을 알게 합니다. 어휘에 나타난 감정을 살피다보면 뜻밖의 위로를 얻게 됩니다. 마음이 참 편해집니다.     아름답다는 말은 말 그대로 아름답습니다. 아름답다에 대해서 여러 가지 해석이 있습니다만, 중세국어에 나오는 아름은 ‘나’라는 뜻이었습니다. 따라서 아름답다를 ‘나답다’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알맞아 보입니다. 이렇게 해석하고 나면 세상이 달리 보입니다. 나다운 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아름답다고 생각하게 되면 모든 것이 아름답게 보입니다. 내가 귀해야 모두가 귀한 거죠.   사랑한다는 말은 원래 생각한다는 뜻이었습니다. 우리말에서 사랑이라는 감정은 그를 생각하는 것에서 비롯됩니다. 생각 때문에 잠을 못 이루고 생각 때문에 마음이 아픕니다. 물론 생각만 해도 가슴이 설레기도 합니다. 사랑의 힘입니다. 사랑이 있어서 두려움이 사라집니다. 심지어 죽음조차도 이겨내는 힘을 갖습니다. 사랑은 무엇보다 강하다는 말은 참으로 맞습니다.   울다와 웃다는 울림의 감정입니다. 슬픔이나 기쁨에 앞서는 울림입니다. 울다에 나온 울리다는 이런 감정의 상태를 잘 보여줍니다. 그래서 우는 것은, 그래서 웃는 것은 근본적으로 ‘혼자’하는 일이 아닙니다. 함께하는 일입니다. 한 사람이 울면 같이 울고, 누가 웃으면 우리도 웃습니다. 감정이 울려옵니다. 거울효과라고도 하죠.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되고,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된다고 합니다. 이건 노력하는 감정이 아닙니다.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그대로 감정의 울림에 맡겨두면 되는 일입니다.   저는 슬픔이라는 감정을 보면서 마음이 아픕니다. 이런 감정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슬픔이 없는 인생은 불가능합니다. 헤어짐이 없는 삶이 없기에 슬픔은 우리에게 필수적인 감정입니다. 그래서 싫었을 겁니다. 슬프다는 말과 싫다는 말은 어원이 같습니다. 슬픈 게 싫고, 싫은 게 많아서 슬픕니다. 여러 번 싫다와 슬프다라는 말을 생각해 보면 슬픔을 피하는 방법이나 싫음을 이기는 방법을 깨닫게 됩니다. 싫어하지 않으면 슬픈 일도 줄어듭니다.     기쁘다와 즐겁다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둘 다 좋은 감정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사용하는 장면을 보면 기쁘다는 주로 개인적인 마음의 상태입니다. 반면 즐겁다는 여럿이 함께 느끼는 감정입니다. 배우고 익히는 것이 기쁘고, 벗과 함께하니 즐겁다는 논어의 구절이 기쁘다와 즐겁다를 잘 나누어 보입니다. 스스로 깨달음을 얻고 하루하루 자라는 기쁜 삶이기 바랍니다. 그러면서도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사람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기 바랍니다.   예쁘다는 보호하고 싶다는 감정입니다. 아름답다와 느낌이 다른 것은 보호에 방점이 찍혀 있기 때문입니다. 예쁘다면서 함부로 하면 안 됩니다. 꽃도, 아이도, 사랑하는 사람도 모두 그렇습니다. 어여삐 여긴다는 것은 그런 의미입니다. 아끼는 것입니다. 아낀다는 말도 아깝다는 말과 연관이 됩니다. 쥐면 터질세라, 불면 날아갈세라 자식을 예뻐하고 아끼던 부모님의 감정이 떠오르는 말입니다.   우리말은 감정이 발달한 언어입니다. 감정이 발달하였다는 것은 사람에 대한 관심이 많고, 변화에 대해서 관심이 많음을 의미합니다. 오늘 이야기한 감정에 대한 단어를 보면서 마음의 위로가 생겼기 바랍니다. 말은 마음이고 감정이고 힘입니다. 조현용 / 경희대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감정 모두 감정 생각 때문

2022-07-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